LIS 란? LIS, Longest Increasing Subsequence 라는 뜻으로, 최장 증가 부분 수열 이라고도 합니다. 최장 : 가장 긴 증가 : 증가하는 부분 수열 : 일부만으로 구성된 수열 예를들어, {10, 30, 20, 30, 20, 40, 30 } 의 배열에서 LIS는 {10, 30, 20, 30, 20, 40, 30 } 로, {10, 20, 30, 40} 입니다. 제곱시간내에 구하는 알고리즘 해당 알고리즘은 상당히 간단합니다. 수열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배열의 마지막 원소로 원소 a[N+1]가 하나 더 새로 들어온다고 할 때, 이전 배열의 정답으로부터 해를 찾아낼 수 있습니다. 즉 선형적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 원리는 NlogN 에 구하는 과정에서도 사용되므로 염두에 두어야..
주의 : 주인장이 맘대로 구현해놨음. 구현원리는 있지만, 풀이 다른분들이 BFS할 때 저는 직접 구현해서 풀었습니다. 구슬을 기울일때 파란구슬, 빨간 구슬 중 먼저 도착할 구슬부터 옮긴 후, 그 후에 도착하는 구슬은 그 이후에 옮겼습니다. 최대 10번 기울이고 N, M 크기도 최대 10밖에 안되니까, 백트래킹 기법이 적용될 수 있겠다 생각했고, 귀찮아서 재귀 방식으로 풀었습니다. 스택에 직접 넣어서 반복문으로 풀면 저보다 퍼포먼스가 더 좋을거에요. 55%에서 멈추는 사람들을 위해 구슬이 다 빠지는 경우가 생기는데, 이때 빠진 구슬의 위치를 구멍부분에 안착 시켜놓으면 정상적으로 오류처리가 안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아래 예제를 해보시면 알 것 입니다. 3 5 ##### #BRO# ##### 코드 #inclu..
서론 서론이니 넘어가도 됩니다. 어릴때부터 윈도우 친화적으로 컴퓨터를 경험하다보니 시작프로그램이란게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고있다. 또한 이와 관련된 서비스 가 무엇인지도 알고 있다. 하지만 요새 우분투를 건드리면서 daemon이 뭐지, program.d 등등이 뭔지 하나도 모르겠다. Daemon이 뭔지 wikipedia에서 검색을 해보고 나서야 이게 뭔지 감이 잡히기 시작했다. Daemon의 정의 Daemon이란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로써 돌아가는 프로그램으로, 유저가 단순히 백그라운드 프로그램으로 실행하는 것보다 더 직접적인 제어를 받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리고 형식적으로 이 daemon 프로그램들은 d로 끝나게 되어있고, 이를 통해 일반 프로그램과 구별을 할 수가 있게 됩니다. 리눅스를 만지면서 ..
진짜 이분 덕분에 살았다. https://blog.litehell.info/post/how_to_fix_no_sound_issue_in_samsung_laptop_ubuntu 삼성 노트북(950XBE) 우분투에서 소리 안 들리는 버그 고치기 한 줄로 고치는 버그 blog.litehell.info /etc/modprobe.d/alsa-base.conf 위치에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 audio fix options snd-hda-intel model=alc298-samsung-amp 더 많은 사람들이 해결할 수 있도록, 추후에 내가 잊어버리지 않도록 메모하기 위해 작성한다.